최근 조리 종사자들의 ‘조리 흄’으로 급식 조리실의 환기시스템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명쾌한 가이드를 줄 수 없습니다.
급식시설의 근본적인 문제부터 파악하고 해결해 나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 새로운 과제 앞에 많은 기관과 담당자들의 고민과 갈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우선 대한급식신문은 당장 알아야 하고,
가능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부분부터 정리하고 생각했습니다.
한편으로는 우리 단체급식 분야가 이제는,
사회 속에서 종사자의 건강과 근무환경까지 관심을 받는 것 같아 뿌듯하기도 합니다.
주제지금의 급식 조리실에 실현 가능한 ‘환기시스템’
내용
- 고용노동부 권고 환기설치 기준 반영 실물 전시
- 기존 주요기구에 보완하는 환기보조 신제품 전시
- 조리실 환기시스템이 장착된 신제품 전시
- ‘학교 조리실 환기장치 실태조사 및 표준 환기방안 마련 연구’ 주요 내용 소개
- 고용노동부 ‘학교 급식 조리실 환기설비 설치 가이드’ 주요 내용 소개 등
장소전시장 내 ‘특별관1’
[특별교육]
학교 조리실 환기방안 연구 책임자에게 직접 듣는
‘학교 급식조리실 환기설비 설치 가이드’ 핵심내용
장소전시장 내 ‘강연장’
신청선착순 마감 / 100명
일자
시간
주제
강연자
6.23(금)
12:00 ~ 13:00
학교 조리실 환기방안 연구 책임자에게 직접 듣는 ‘학교 급식조리실 환기설비 설치 가이드’ 핵심내용
하현철 교수 창원대학교 스마트그린공학부
특별관 02
‘하이브리드’ 급식 조리실의 제안전기주방 주요기구 7 콜렉션
요즘 앞서가는 급식 조리실은 ‘전기주방’이란 말이 들려옵니다.
그런데 ‘전기주방’이 뭘 말하는 걸까요?
전기주방으로 전환한 영양(교)사들이 말하는 전기주방의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
전기주방 계획 시 사전체크 항목과 준비과정.
급식 조리실 내 주요기구의 전기제품 종류.
전기주방에 대한 영양(교)사의 인식도 조사 결과까지.
제대로 이해하고 아는 전기주방.
‘하이브리드 급식 조리실’을 제안합니다.
주제가스와 전기가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급식 조리실’
내용
- 급식 조리실 내 주요기구 7종별 최신 제품 전시
- 성공적 전기주방 전환을 위한 매뉴얼 안내
- 전기주방 전환 학교 영양(교)사 인터뷰 소개 등
내용
- 튀김·면류·볶음·바비큐 등을 요리하는 조리로봇 전시
- 조리로봇 요리 시연 및 시식
장소전시장 내 특별관3
구성
구분
상세 기능
튀김조리로봇 COOKBOT CHEF FRIED
치킨, 돈까스 등 육류와 감자, 깻잎 등 야채는 물론 새우, 만두 등 냉동식품과 도너츠, 핫도그 등 빵류까지 각종 튀김 요리가 가능한 조리로봇이다. 치킨 기준으로 시간당 54마리 생산이 가능하고, 급식에 적용 시 시간당 720인분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Mesh망 튀김기 부착으로 기름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면조리로봇 COOKBOT CHEF NOODLE
한식 잔치국수와 냉면은 물론 중식 짜장면, 짬뽕과 일식 우동, 양식 파스타 등 전용지그 사용으로 각종 면류 요리가 가능한 조리로봇이다. 시간당 면요리 60그릇이 가능하고, 급식에 적용 시 시간당 720그릇을 생산할 수 있다. 해면기와 냉수기 자동 급·배수 기능과 함께 자동 육수 공급이 가능하다.
볶음조리로봇 COOKBOT CHEF STIR-FRY
제육볶음, 닭갈비 등 한식과 새우·야채볶음 등 중식, 일식 야끼우동, 야끼소바 요리가 가능하며, 양식인 각종 파스타와 볶음요리도 가능하다. 시간당 120그릇을 조리할 수 있고, 급식에 적용하면 시간당 720인분까지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소스와 식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장치 기능이 있으며, 면 해면 및 공급과 함께 자동 세척 기능도 가능하다.
바비큐조리로봇 BARBECUE MASTER
숮불구이에서 바비큐는 물론 탕과 훈제구이, 철판요리, 찜류 요리도 할 수 있다. 이 같은 바비큐 조리 기기는 화목난로의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바베큐와 철판요리 등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다. 특히 바비큐 등 일정한 조리 시간이 소요되는 메뉴도 최상의 맛이 구현될 수 있도록 자동 온도 조절 및 시간 설정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부대행사 01
“영양선생님들의 식판 뒤 이야기”식단구성 공유회
오늘은 뭐 먹지? 어느 가정에서나 하는 고민입니다.
그런데 1년 365일,
대량의 급식이용객을 대상으로 이런 고민을 한다면 얼마나 큰 부담일까요?
초보 영양(교)사부터 베테랑 영양(교)사까지.
오직 영양(교)사들만의 시간.
식단구성의 고민을 공감하고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단순해 보이는 식판 하나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고군분투하는
영양선생님들의 치열한 식판 뒤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주제나만의 식단구성 비법! 이것이 급식의 한 수
대상
영양(교)사, 조리사(원), 메뉴개발 담당자 ※일반인 또는 급식관계자가 아닌 경우 참석이 불가능합니다.
규모1회당 60명 (총 7회 / 420명)
신청
본 홈페이지 사전신청자에 한함
* 1인 2회 신청가능, 선착순 마감. · * 신청 후 주최측으로 부터 ‘참가확정'문자를 받으셔야 합니다.
장소전시장 내 ‘강연장’
프로그램
날짜
No
시간
주제
강연자
6월 22일 (목)
1
12:00 ~ 12:50
식재료 활용으로 뻔~한 급식은 No!
최정현 영양과장 (재)건설기술교육원
6월 22일 (목)
2
14:00 ~ 14:50
요즘 초등식단의 정석
김정옥 영양교사 고암초등학교
6월 22일 (목)
3
16:00 ~ 16:50
지금 경기도는… ‘자율선택급식’ 중
신지희 영양교사 성남외국어고등학교
6월 23일 (금)
4
14:00 ~ 14:50
‘얼리어급식터’가 제안하는 꿀조합 식단
김수빈 영양교사 율곡고등학교
6월 23일 (금)
5
16:00 ~ 16:50
단가 걱정 없는 특식메뉴 짜기
김민지 영양사 명성에프엠씨 유니셈
6월 24일 (토)
6
12:00 ~ 12:50
‘저작식’에 대한 4년의 고민!
주희란 영양사 사회복지법인 창인원 창인요양원
6월 24일 (토)
7
14:00 ~ 14:50
MZ세대? 급식 입맛도 좀 다르네!
이미정 영양사 아워홈 LG이노텍 안산R&D캠퍼스점
· 식단구성공유회 신청 시, 별도의 등록 없이 전시장 입장이 가능합니다.
부대행사 02
‘K-급식’의 제안급식메뉴 시연회
K- Wave! ‘한류’는 이제 전 세계의 흐름이 되고 문화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거론되는 ‘K-급식’!
이 단어가 어색하지도 억지스럽지도 않게 느껴지는 이유는,
급식관계자들의 끊임없는 노고를 우리는 알기 때문이겠지요?
우리는 여기서 멈추지 않기로 합니다.
세계인도 공감할 수 있는,
한국인 내에서도 다양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한식을 기본으로한 ‘K-급식’을 고민해 보았습니다.
주제세계와 세대를 아우르는 ‘K-급식’
대상영양(교)사, 조리사(원), 메뉴개발 담당자
규모1회당 60명(총 6회/ 360명)
신청
본 홈페이지 사전신청자에 한함
* 1인 2회 신청가능, 선착순 마감. · * 신청 후 주최측으로 부터 ‘참가확정'문자를 받으셔야 합니다.
장소전시장 내 ‘시연장’ *회별 메인 메뉴에 대한 간단한 ‘시식’ 을 진행합니다.
프로그램
날짜
No
시간
주제
강연자
6월 22일 (목)
1
13:00 ~ 14:00
막창 고추장 로제 ‘떡볶이’
불고기 명이나물 ‘샌드위치’
조성현 쉐프 ECA(에스코피에 컬리너리 아카데미)
6월 22일 (목)
2
15:00 ~ 16:00
해초, 열무김치를 곁들인 ‘카펠리니’
불고기를 곁들인 ‘수제비’ (화이트 라구 숏 파스타 스타일)
박형진 쉐프 웨스틴조선 서울 호텔
6월 23일 (금)
3
13:00 ~ 14:00
또띠아 ‘김밥롤’
‘가래떡’ 튀김
박창우 셰프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
6월 23일 (금)
4
15:00 ~ 16:00
데리야끼·고추장소스와 ‘삼겹살 구이’
김치 ‘어묵탕’
김동섭 교수 신한대학교
6월 24일 (토)
5
13:00 ~ 14:00
양념 치킨 ‘비빔밥’
김치 ‘라이스볼’ 튀김
원승식 쉐프 이마트
6월 24일 (토)
6
15:00 ~ 16:00
참나물 차돌박이 ‘샐러드’
제육 치즈 ‘덮밥’
구현모 쉐프 그랜드워커힐 서울 호텔
회별 메인 메뉴에 대한 간단한 ‘시식’을 진행합니다.
급식메뉴 시연회 신청 시, 별도의 등록 없이 전시장 입장이 가능합니다.
부대행사 03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교육·세미나
6월 22일(목) / 13:00~13:50
주제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노인 장애인 등 식생활 취약계층 K-급식으로 품다
연사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사회복지급식관리팀 양지숙 팀장
대상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준비·시작한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사회복지급식분야 관련 기업 및 관심있는 개인 등
장소전시장 내 '강연장'
설명
22년 7월부터 실시된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에 대한 사업 확대 계획을 공유하고,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를 준비하고 있는 지역센터에 대한 조언 및 효과적인 사업을 위해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종 사업에 대한 설명 실시
6월 23일(금) / 15:00~15:50
주제어린이급식관리의 뉴 패러다임 ‘전문지역센터제’
연사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급식관리총괄 식생활교육지원팀 최경아 팀장
대상
- 전문지역센터제를 준비하고 있는 지역센터
- 어린이센터 사업에 관심이 있는 기업 및 개인 등
장소전시장 내 '강연장'
설명2022년도 전국 236개소 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개소로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 어린이급식지원사업의 발전 경과와 급식관리지원센터 2.0시대를 맞이하여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신규사업 모델을 도입, 수행 중인 사업에 대해 사업 진행 공유 및 향후 급식관리지원사업의 발전방안 제시
6월 24일(토) / 11:00~11:50
주제나트륨, 당 섭취와 건강
연사강북삼성병원 강재헌 (가정의학과 의사 / 저당저염 실천본부 위원장)
대상저당저염실천에 관심이 있는 개인 및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관계자 등
장소전시장 내 '강연장'
설명저당저염실천본부 강재헌 위원장 (가정의학과 의사)이 제안하는 건강한 나트륨, 당 섭취의 모든 것 ! 예전보다 많이 낮아졌다고 하나 여전히 WHO권고량에 비해 많은 당과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는 한국인의 식생활을 진단하고, 식생활 실천의 중요성을 집어본다.